회사소개
home
About Us
home

고객을 위한 글쓰기, UX 라이팅의 전략과 사례

저자
강지인
분류
콘텐츠
기록
완독률
■■■■■■■■■■ 100%
총 강의 수
4
완료 강의 수
4
독서 기간
2023/03/31 → 2023/04/02
평점
⭐⭐ 2.0
표지
1장.png

 Contents

chapter 1 첫번째 강의ㅣUX 라이팅, 대체 뭘까요?
chapter 2 두번째 강의ㅣ사용자 중심 글쓰기의 조건과 전략
chapter 3 세번째 강의ㅣUX 라이팅의 실무와 사례
chapter 4 네번째 강의ㅣUX 라이팅에 도움되는 툴

 Review

chapter 1 UX 라이팅, 대체 뭘까요?

경험을 만드는 제작자에게도 필요하고, 경험하는 유저에게도 필요합니다.
단어 정의 알고 가기
Writing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단어와 문장을 정리하여 글을 쓰는 행위
User Experience : 사용자의 경험편안하게 만드는 것
UX Writing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일 복잡하고 어려운 용어를 사용자 친화적으로 바꾸고 행동을 이끌어내는 글쓰기 방식
차이점 알고 가기
Copywriting
판매 중심
사용자를 후킹하는 매력적인 어휘
자주 노출(기억에 남게 끔)
익숙함을 파괴하여 브랜드, 상품, 서비스의 특성을 개성있게 드러냄
사용자에게 일방적으로 이야기를 해줌
UX Writing
제품 중심
제품을 설명하는 단순하고 명확한 어휘
필요한 순간에 적절하게 쓰여야 함(한 번이라도 제대로)
오히려 익숙한 문구를 사용하여 브랜드, 상품, 서비스의 이용에 오해와 불편함이 없게끔 함
사용자와 함께 대화를 나눔
Microcopy
방문자가 웹/앱을 방문했을 때 특정 행동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짧은 문구
정리
UX Writing : 꼭 짧은 문장만 UX Writing이 아니며, UX Writing이 Microcopy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보면 된다. * 그림 참고
UX 라이터의 역할
= 대체로 짧고 명확한 문장들을 통해 사람들의 경험을 조금 더 낮게 만드는 역할로 정의
구글
디자인과 제품의 경험을 향상시키는 것
애플
아이디어를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가장 좋고 가장 짧은 방법을 찾는 것
우버
사람들이 물리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경험을 촉진시키는 것
드롭박스
복잡한 기술 언어를 사람들의 언어로 번역하는 것
강사 강지인
고객 입장으로 생각하기(제작자 입장 X)
글을 통해 고객 니즈 이끌어내기
창의적으로 브랜딩 녹여내기
편안한 경험에서 그치지 않고, 우리 브랜드만의 차별화된 점도 고객에게 표현하고 경험하게 하자. (고객에게 좋은 경험으로 남을 수 있다!)
프로덕트를 빠짐없이 이해하기
우리 프로덕트의 장점과 혜택을 어필 강조하기 위해서는 고객 여정, 고객 페르소나, 우리 브랜드의 페르소나 파악은 필수
우리의 프로덕트를 빠짐없이 이해하고 알고 있어야 한다!
KFO
우리는 어떻게 채워나갈 수 있을까!
그로스쿨 UX 라이터 강지인, 따라하기
CS 공수 줄이기(BEST)
웹사이트 방문 → 헷갈리는 내용 파악 → CS 문의내역 공유 요청 → UX라이팅 수정,개선 *이것부터 시작하자! CS 공수 줄이는 방안 찾기 → 홈페이지 고객 입장에서 방문 → 현재 공통 문의가 있는지 받아보기
따라하고 적용하기
정리
UX 라이팅은 디지털 기술의 발달, 정보량 증가 사용자의 읽는 행위 변화 유용한 정보를 명확하고 간결하게 제공해야 함 고객과의 관계를 위해 문구로 소통하는 것

chapter 2 사용자 중심 글쓰기의 조건과 전략

UX 라이팅의 네 가지 조건
UX 라이팅의 네 가지 조건
효율성
한정된 인터페이스 내에서 정보 전달하려면
짧고 가독성 좋게 쓰기
불필요한 단어, 문장 부호 생략하기
UX 라이팅의 여섯 가지 전략
명확하고 올바르게 쓰기(이탈 요소가 된다.)
한자식 표현은 자제한다. 예) 우선적으로 → 먼저
번역투의 표현은 자제한다. 예) 사용가능한 → 사용할 수 있는
과도한 왜래어를 쓰지 않는다.
올바른 숫자, 기호 표기를 사용하자.
맞춤법 검사는 필수!
간결하게 쓰기
모바일에서 가장 중요한 전락이다.
불필요한 단어와 조사는 모두 뺀다.
중복되는 내용도 뺀다.
뺄수록 의미가 명확해지는 마법!
전체를 다 읽지 않아도 되게끔 두괄식으로 쓰자.
고객과 대화하듯 쓰기
고객의 입장에서 출발하자.
오프라인에서 실제로 대화한다고 생각하자.
적절한 구어체의 사용은 친근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
대상의 목적과 상황, 수준 등을 고려하자.
부정적인 표현을 최소화하자.
폰트, 색상, 글꼴, 이모지 활용하기
가독성 좋은 폰트 사용(노토산스)
강조해야 할 부분은 크기색상을 바꾸거나 볼드체 활용
센스있게 이모지 활용
디자이너와 함께 작업하며, 어떤 부분을 강조하고 어떤 부분을 숨길지 정하자.
우리 브랜드에 UX 라이팅 도입하기
UX 라이팅 규칙 정하기
최대한 규칙에 따라 쓴다.
기획안 단계부터 반영할 수 있어서 효율적이다.
테스트하기
기획안 의도에 맞게 사용자가 이해하는지 관찰한다.
필요 시 지속적으로 수정한다.
잘 된 사례들을 벤치 마킹하고, 적용해보기
평소에 사용하는 웹, 앱에서 좋은 사례를 발견할 수 있다.
스스로가 테스터라고 생각하자. 예) ‘내가 방금 이 푸시를 왜 눌렀더라?
어떤 점이, 왜 좋은지를 따져본다.

chapter 3 UX 라이팅의 실무와 사례

인터페이스의 모든 글은 실제로 고객과의 대화다.
UX 라이팅 Keyword로 정리하기
웹/앱에서 UX 라이팅이 꼭 필요하고 잘 되어야 하는 항목
공지·안내
동의·허용
장바구니
문의
평가
성공·실패
버튼
로그인·가입
해지·탈퇴

chapter 4 UX 라이팅에 도움되는 툴

강지인 강사 이메일 : jjinjjin@groschool.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