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소개
home
About Us
home
📰

오라클 2기 중간 점검 및 보고

1. 전체 운영 방향 및 진행 방향성 보고

매체별 분석 및 인사이트
광고(메타/SA) 현황 보고 및 향후 전략/방향성
온드미디어/외부 홍보 현황 보고 및 향후 전략/방향성

- 네이버/구글 SA (검색광고)

1) 성과 요약
1기 대비 DB유입당비용 감소 (127,482원 → 68,006원)
2) 추진 방향
브랜딩 키워드 확장 운영
직무 및 산업 핏에 맞는 세부 키워드 중심의 운영 전략
의료/바이오 관련 키워드 추가 발굴 및 노출 확대

- 메타 광고 (페이스북/인스타그램)

1) 성과 요약
1기 대비 DB유입당비용 소폭 증가하였으나 (약 1만원 상승) 이탈율 49%p 감소
2) 추진 방향
타깃 정교화 (기존 세분 관심사 기반 분류 강화)
성과 좋은 소재 중심 리타겟팅 및 캐러셀 포맷 활용

- 온드미디어/바이럴

성과: 현재 노출 우수, 실 유입 17명
전략:
바이오/의료 키워드 중심의 콘텐츠 지속 확장
파워 콘텐츠 연계 포스팅 운영
카페 중심으로 배포 진행
대학기관 메일 점검, 추가 발송

2. 매체별 요약(메타/SA)

1. 성과 요약
네이버 SA 저단가 키워드 중심 운영으로 CPC는 개선됐으나, ClickCTA 하락으로 전환율 감소
구글 SA 클릭률 및 전환율 상승하며 효율 개선
메타(페이스북/인스타그램)는 타겟을 산업별로 정밀 분리하여 단가는 상승했으나, 활성사용자 수는 117% 증가, 참여시간도 6초 상승
2. 추진 방향
네이버 검색광고 → 연관도 낮은 키워드와 소재 점검 및 고연관 키워드 집중
구글 검색광고 → 고성과 키워드·소재 유지 및 추가 확장을 통한 DB 유입 강화
메타 광고 → DB 추가 확보를 위해 타겟 범위 확장 필요

3. 매체별 요약(온드미디어/바이럴)

1) 온드미디어 (블로그/자사 콘텐츠)
성과 요약
현재 ‘의료·바이오’ 키워드 활용 콘텐츠 성과 우수
총 발행 건수: 내부 콘텐츠 2건(블로그)
페이지 유입: 총 13명 / CTA 클릭: 3명 / 실 유입: 1명
전환률 기준 대비 CTA 클릭률(23%) 우수
추진 방향
관리/추진: 발행 수 최초 목표(5건) 대비 초과 추진(12건) 및 인스타그램 활용도 증가
블로그 ‘파워콘텐츠’ 구조화 및 인스타그램 채널과 연계 운영(프로필 개선/스토리 미러링 포함)
기대효과: 파워콘텐츠 제외, 광고비 없이도 유입+전환 견인 가능한 콘텐츠 확보 / 검색유입 기반 중장기 효과 확보 (내일하이 브랜딩 및 오라클 아카데미 차기수 동반 홍보) / 매체간 연동성 확보 / 개별 매체 활성화
2) 블로그 배포 대행
성과 요약
바이오 > 국비 > 데이터 키워드 순으로 유입률 우수
총 발행 건수: 22건
페이지 유입: 총 33명 / CTA 클릭: 3명
랜딩 실 유입 확인됨(블로그 유입: 1명)
추진 방향
운영 효율 재조정 제안: 카페 내 홍보글 게시 서비스 전환 검토 (금액 및 진행 내용 확인하여 확정)
관리/추진: 대행사와 계약 내에서 전환 협의, 차액 정산 또는 미사용 예산 내 타매체 활용
기대효과: 키워드 활용도 유지 + 성과 미흡 채널 예산 최적화
3) 네이버 지식인
성과 요약
페이지 유입: 총 7명 / CTA 클릭: 1명
실질 유입 및 전환 성과 없음
추진 방향
관리/추진 - 작성 완료된 기존 원고(10건) 중심으로 최종 발행만 진행 후 운영 종료 - 저성과 채널에 대한 리소스 소모 최소화 / 성과 및 유입 우수 매체로 집중
4) 카카오 오픈채팅방
성과 요약
페이지 유입: 총 98건 / CTA 클릭: 5명
실 전환 성과 없음
추진 방향
관리/추진: - 클릭수 높은 바이오 관련 채팅방만 추가 발행 후 종료 - 향후 방향성 지식인과 동일
5) 커뮤니티 채널
성과 요약
페이지 유입: 총 8명 / CTA 클릭: 3명
실질 유입 및 전환 성과 없음
추진 방향
관리/추진 - 기존 포스팅 중단, 성과 우수한 카페 채널 중심 전환 배치
6) 대외활동 플랫폼
성과 요약
페이지 유입: 총 171명 / CTA 클릭: 30명
실 유입: 4명
추진 방향
관리/추진: 기존 타이틀 및 문안 전략 유지하되 데이터/바이오 키워드 활용도 향상
제목 최적화 및 추가 플랫폼 확장 고려
기대효과: 플랫폼 내 핵심 관심자에게 직접 노출, 전환률 상승
7) 네이버 카페 채널
성과 요약
페이지 유입: 총 62명 / CTA 클릭: 10명
실 유입: 8명
추진 방향
관리/추진: 성과 채널 중심 추가 배포 요청 및 대행 인입 고려
문안 일부 개선 및 7월 3/4주 집중 배포
기대효과: 타겟 중심 정보 전달 최적화, 실 유입 증대
8) 대학기관
성과 요약
취업지원처·학과·담당자 대상 총 290건 메일 발송 → 약 190곳 발송 완료 / 36건 오류 / 총 9건 이상 메일 확인
메일 기반 랜딩페이지 유입 17명, 신청서 작성 4명으로 실전환 비율 기준 성과 우수
추진 방향
관리/추진: 오류 36건 포함하여 대학기관 메일 리스트 후속 정비 및 2차 발송 검토
추가 신규 매체 발굴 및 발송 목표